서울 아파트 거래 절벽과 가격 안정 현상
최근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매매뿐 아니라 전세, 월세 거래까지 급격히 줄어드는 ‘거래 절벽’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3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가격 안정세보다는 오히려 상승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아파트 거래 절벽과 가격 안정 현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규제 이후 부동산 시장의 변화와 앞으로의 전망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 절벽, 왜 이렇게 극심해졌나
6·27 대출 규제가 본격 시행된 지난 두 달 사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역대급으로 감소했습니다. 금융당국이 실수요자까지 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그 여파가 매매 시장뿐만 아니라 전세·월세 시장에도 강하게 번지고 있습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말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전월 대비 30% 이상 감소했고, 전세·월세 거래 건수 역시 빠르게 위축되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거래량 감소가 매매 시장에 국한됐지만, 최근에는 임대차 시장까지 거래 절벽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특히, 대출 규제는 자금 마련이 어려운 무주택 실수요자와 청년층, 신혼부부 등에게 큰 장벽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실거주를 위한 내 집 마련 수요도 크게 둔화했고, 투자 수요는 이미 고금리와 보유세 부담 등으로 위축된 상태였기에 전체 거래 시장이 얼어붙은 것입니다.
대출 규제 여파와 시장 심리 변화
6·27 대출 규제로 인해 LTV(주택담보대출비율)는 더욱 강화됐고, 소득 대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지금 사도 될까’라는 불확실성이 커지며 매수세는 더욱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전국적으로 금리 인상 기조가 계속되면서,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점도 거래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국, 매수자는 관망세...